체력측정 실무
근래 들어 각종환경 오염과 신체활동으로 인한 각종 성인병 질환이 만연되고 있다. 성인병 질환은 그 종류가 다양하지만 대표적으로는 순환기질환을 의미한다. 순환기질환은 한국인 사망사인 1위에 랭크 되어있고, 한국인 사망순위가 점차적으로 OECD 국가들의 사인순위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낸다는 점을 근거할 때(통계청, 2001) 금후에도 더욱 증가할 것이 자명하므로 국민건강 증진차원에서 그 예방대책이 절실히 요구된다.
AAHPER(American Alliance for Health,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and Dance, 1980)는 운동 습관 유무에 따라 건강관련 체력의 수준이 결정되고, 그 수준이 낮으면 성인병 질환의 발생위험이 높다는 개념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성인병에 의한 사망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 대부분의 원인이 운동 부족이라는 사실이 국민들에게 인식됨에 따라 운동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어 자신의 건강에 애착을 갖고 스스로 운동에 참여하는 인구가 늘어가고 있으며 그에 따른 각종 체육시설도 비례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운동 참여 인구의 대부분이 체력, 체격 등의 운동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이 운동에 참여하고 있어 오히려 부작용을 초래할 위험성이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개인의 체력 수준, 건강 상태, 연령, 운동 목적 등을 고려한 운동의 종류와 운동의 형식을 선택해 주고 그 질과 양은 어떻게 실시하여야 하는가에 대한 올바른 운동 처방의 절실히 요청된다. 다행히 근래들어 건강관리의 개념이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질병 중심에서 예방적 차원으로 변화됨에 따라 체력이 건강관리에 중요한 요인임을 인식하고 국내 일부 의료기관 및 종합헬스클럽에서 체력진단 및 운동처방을 종합건강검진 검사항목으로 선정하여 운영 중에 있으나 검사 비용이 고가이므로 일반 국민들이 이용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 또한 보건복지부에서 국민건강증진을 목적으로 시․군․구 보건소에 동일한 업무를 추진하기 위한 사업을 계획 중에 있으나 운동처방에 대한 전문적 연구가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 게시물은 보건지기님에 의해 2016-01-11 15:44:05 기술&교육자료실에서 이동 됨]
[이 게시물은 보건지기님에 의해 2019-11-06 10:23:19 기술&교육자료실에서 이동 됨]
[이 게시물은 보건지기님에 의해 2019-11-06 10:26:05 시공사례에서 이동 됨]